University

[미국미대편입]서양 미술사조! 초현실주의 화가 및 작품 (미국미대유학)

미국유학 상담전화 ☏ 02-523-7002 2017. 3. 22. 11:32

[미국미대편입]서양 미술사조! 초현실주의 화가 및 작품 (미국미대유학)


상식 대방출 [미술사조]

초현실주의 미술의 특징 정보들!


부자는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많이 주는 사람이라고 하죠?
하나라도 잃어버릴까 안달하는 사람은 아무리 많이 가지고 있어도 가난한 사람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미술사조 관련 정보, 아낌없이 알려 드릴게요. ^^ 집중하세요~


다다이즘은 허무함과 이상주의, 반항정신이 핵심인 키워드에요. 
초현실주의가 다다이즘에서 촉발되었는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초현실주의는 현실을 뛰어 넘는 것에 집중할 뿐이고
다다이즘의 핵심관 크게 다르니 이점 잊지말고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초현실주의의 취지는 이성이 배제된 환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실주의와 반대되는 차원으로 오해받기 쉽지만 달리, 미로, 에른스트의 
작품은 대상의 묘사를 중점으로 두고 있어서 내용과 목적들이 몽상적일 뿐 
기술적으로는 사실성을 내포한다고 보아야 하니 참고 하시기 바라요.


또한, 샤갈 그리고 미로, 달리와 같은 초현실주의 화가들의 작품은
대부분 꿈을 소재와 주제로 두고 전개해 나가지만 초현실주의 미술은 꿈의 
공간을 단지 재생산 한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연관 없는 것들을 꿈의 감성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암시적으로 배치하는 점이 무엇보다 큰 특징입니다.

앙드레 브르통는 초현실주의 선언으로 초현실주의를 이성과 논리를 전부
배제한 절대적 현실성이라고 정의하며 의식의 개입을 줄이고 예기치 않았던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것을 초현실주의라고 본 것이니 기억 바랍니다.


2차세계대전으로 초현실주의가 유명무실하게되고 1966년 앙드레 브르통의
사망으로 초현실주의는 막을 내리지만 앙드레 브르통 같은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미국의 초상표현주의와 앤디 워홀로 대표되는 팝아트의 근간을 이루면서
오늘날까지도 미술계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라요.



초현실주의 대표 화가 및 작품


캐나다의 초현실주의 화가 롭 곤잘베스는 일상 속 현실이 
자연스럽게 착시나 환상의 세계로 넘어가는 작풍이 많으며 <호수의 숙녀들>
<잠들 무렵의 비행> 이 대표 작품이니 잊지말고 기억해 두시기 바라요.

독특한 콧수염을 기른 화가로 알려진 살바도르 달리는 스페인 북부 출신입니다. 
기괴하고 파격적인 행세, 독보적인 천재성으로 아직까지도 널리 회자되고 있는데요. 
초현실주의가 드러난 대표작은 <기억의 연속성>, <불타는 기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주안 미로 이 페라는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출신의 화가이고 조각가에요. 
1923년부터 바실리 칸 딘스키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주의 화풍으로 바뀌었습니다. 
밝은 소박성이 특징적이며 모두 순수한 상징기호로 바꿔 버리는 매력이 있어요. 
그림으로는 <농장>, <카탈로니아 풍경> 같은 대표 작품이 있습니다. 

벨기에 화가 폴 델보는 그만의 독자적인 꿈과 향수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죠. 
앵그르풍의 고요함이 있는 고전주의적 구도의 특징이 드러나며 그의 대표작으로
<불안한 거리>, <메아리> 같은 작품들이 있으니 이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독일 출신 막스 에른스트의 경우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들에 비하면 
대중적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마니아들은 최고의 초현실주의자로 생각하는데요. 
어떤 작품보다 몽환적인 분위기로 현실과 환상을 체험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대표작엔 <셀레베즈의 코끼리>, <신부에게 옷 입히기> 같은 작품들이 있어요.


사람들이 하는 걱정의 대부분은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것이나 
지나간 일에 대한 걱정 등 바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라고 해요.
실제로 해보지 않은 일에서 걱정을 하지는 마세요. 
머릿속에 그리고만 있던 미술사조에 대한 생각도 오늘을 계기로 실제로 해보시기 바랍니다.